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쿠버네티스
- 자바
- 스프링
- Kotlin
- jvm
- OS
- Java
- Collection
- JPA
- Stack
- 백준
- Stream
- spring
- 보조스트림
- SpringBoot
- IntellJ
- 토비의 스프링
- 스트림
- thread
- gradle
- K8s
- GC
- redis
- Real MySQL
- MSA
- 토비의 스프링 정리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mysql
- list
- 이스티오
- Today
- Total
인생을 코딩하다.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정리], 5장 연관관계 매핑 기초 본문
5. 연관관계 매핑 기초
객체의 참조와 테이블의 외래 키를 매핑할 수 있다.
방향 : 단방향, 양방향
- 회원 -> 팀
- 팀 -> 회원
- 회원 -> 팀, 팀 -> 회원
다중성
- 다대일, 일대다, 일대일, 다대다
- N:1, 1:N, 1:1, N:N
연관관계의 주인
- 객체를 양방향 연관관계로 만들면 연관관계의 주인을 정해야 한다.
단방향 연관 관계
객체 연관관계
- 객체는 단방향 관계다.
- 객체의 필드(멤버 변수)로 다른 객체와 연관관계를 맺는다.
테이블 연관관계
- 양방향 관계다.
- 테이블은 외래키로 다른 테이블과 연관관계를 맺는다.
- 두 테이블의 외래키를 통해서 서로 조인 할 수가 있다.
객체 연관관계와 테이블 연관관게의 가장 큰 차이
참조를 통한 연관관계는 언제나 단방향이다. 객체간에 연관관계를 양방향으로 만들고 싶으면 반대쪽에도 필드를 추가해서 참조를 보관
해야한다. 결국 연관관계를 하나 더 만들어야 한다. 이렇게 양쪽에서 서로 참조하는 것을 양방향 연관관계라 한다. 하지만 정확히
이야기하면 이것은 양방향 관계가 아니라 서로 다른 단방향 관계 2개다.
반면에 테이블은 외래 키 하나로 양방향으로 조인할 수 있다.
객체 연관관계 vs 테이블 연관관계 정리
- 객체는 참조(주소)로 연관관계를 맺는다.
- 객체는 참조를 사용해서 연관관계를 탐색할 수 있는데 이것을
객체 그래프 탐색
이라고 한다.
- 객체는 참조를 사용해서 연관관계를 탐색할 수 있는데 이것을
- 테이블은 외래 키로 연관관계를 맺는다.
5.1.3 객체 관계 매핑
객체 관계 매핑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연관 관계 매핑
@ManyToOne
@JoinColumn(name="TEAM_ID")
private Team team;
//연관관계 설정
public void setTeam(Team team) {
this.team = team;
}
//Getter Setter
}
- @ManyToOne
- 다대일(N:1) 관계라는 매핑 정보
- 어노테이션 필수
- @JoinColumn(name="TEAM_ID")
- 조인컬럼은 외래 키를 매핑할 때 사용
- name 속성에 매핑할 외래 키 이름을 지정
- 생략 가능하다.
@JoinColumn 생략
- 기본 전략 : 필드명 + _ + 참조하는 테이블의 컬러명
- 외래키 = team_TEAM_ID
@ManyToOne
다대일 관계에 사용
@OneToMany
private List<Member> members; // 제네릭 사용
@OneToMany(targetEntity=Member.class) // 거의 사용 안함
private List members; // 타입 알 수 없음
5.1.4 @JoinColumn
@JounColumn은 외래 키를 매핑할 때 사용한다.
@JoinColumn 주요 속성
name
- 매핑할 외래 키 이름
- 필드명 + _ +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 키 컬럼명
referencedColumnName
- 외래 키가 참조하는 대상 테이블의 컬럼명
-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 키 컬럼명
foreignKey(DDL)
- 외래 키 제약조건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
- 이 속성은 테이블을 생성할 때만 사용한다.
unique, nullable, insertable, updatable, columnDefinition, table
- @Column의 속성과 같다.
5.1.5 @ManyToOne
@ManyToOne 어노테이션은 다대일 관계에서 사용한다.
@ManyToOne 속성
optional
- false로 설정하면 연관된 엔티티가 항상 있어야 한다.
- 기본값은 true
fetch
- 글로벌 패치 전략을 설정한다.
- @ManyToOne - FetchType.EAGER
- @OneToMany = FetchType.LAZY
cascade
- 영속성 전이 기능을 사용한다.
targetEntity
- 연관된 엔티티의 타입 정보를 설정한다. 이 기능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컬렉션을 사용해도 제네릭으로 타입 정보를 알 수 있다.
5.2 연관관계 사용
5.2.1 저장
public void testSave() {
//팀1 저장
Team team1 = new Team("team1", "팀1");
em.persist(team1);
//회원1 저장
Member member1 = new Member(100L, "회원1");
member1.setTeam(team1); //연관관계 설정 member1 -> team1
em.persist(member1);
//회원2 저장
Member member2 = new Member(101L, "회원2");
member2.setTeam(team1); //연관관계 설정 member2 -> team1
em.persist(member2);
}
JPA에서 엔티티를 저장할때 연관된 모든 엔티티는 영속 상태
여야 한다.
MEMBER_ID | NAME | TEAM_ID | TEAM_NAME |
---|---|---|---|
100 | 회원1 | team1 | 팀1 |
101 | 회원2 | team2 | 팀1 |
5.2.2 조회
연관관계가 있는 엔티티를 조회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다.
- 객체 그래프 탐색(객체 연관관계를 사용한 조회)
- 객체지향 쿼리 사용(JPQL)
객체 그래프 탐색
Member member = em.find(Member.class, 100L);
Team team = member.getTeam(); //객체 그래프 탐색
System.out.println("팀 이름 = " + team.getName());
객체 지향 쿼리 사용
객체 지향 쿼리인 JPQL에서 연관관계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SQL은 연관된 테이블을 조인해서 검색조건을 사용하면 된다.
JPQL도 조인을 지원한다.
public static void testJPQL(EntityManager em) {
String jpql1 = "select m from Member m join m.team t where " +
"t.name = :teamName";
List<Member> resultList = em.createQuery(jpql1, Member.class)
.setParameter("teamName", "팀1")
.getResultList();
for (Member member : resultList) {
System.out.println("[query] member.username = " +
member.getUsername());
}
}
// 결과: [query] member.username=회원1
// 결과: [query] member.username=회원2
from Member m join m.team t
부분을 보면 회원이 팀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 필드(m.team)을 통해서 Member와 Team을
조인했다. 그리고 where 절을 보면 조인한 t.name을 검색조건으로 사용해서 팀1에 속한 회원만 검색했다.
다음 실행한 JPQL을 보자. 참고로 :teamName과 같이 :로 시작하는 것은 파라미터를 바인딩 받는 문법이다.
이때 실행되는 SQL은 다음과 같다.
SELECT M.* FROM MEMBER MEMBER
INNER JOIN
TEAM TEAM ON MEMBER.TEAM_ID = TEAM1_.ID
WHERE
TEAM1_.NAME='팀1'
실행된 SQL과 JPQL을 비교하면 JPQL은 객체(엔티티)를 대상으로 하고 SQL보다 간결하다.
5.2.3 수정
private static void updateRelation(EntityManager em) {
// 새로운 팀2
Team team2 = new Team("team2", "팀2");
em.persist(team2);
//회원1에 새로운 팀2 설정
Member member = em.find(Member.class, 100L);
member.setTeam(team2);
}
실행되는 수정 SQL은 다음과 같다.
UPDATE MEMBER SET TEAM_ID='team2', ... WHERE ID = 'member1'
수정은 em.update() 같은 메소드가 없다. 단순히 불러온 엔티티의 값만 변경해두면 트랜잭션을 커밋할 때 플러시가 일어나면서
변경 감지 기능이 작동한다. 그리고 변경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반영한다. 이것은 연관관계를 수정할 때도 같은데, 참조하는
대상만 변경하며 나머지는 JPA가 자동으로 처리한다.
5.2.4 연관관계 제거
private static void deleteRelation(EntityManager em) {
Member member1 = em.find(Member.class, "member1");
member1.setTeam(null); //연관관계 제거
}
5.2.5 연관된 엔티티 삭제
연관된 엔티티를 삭제하려면 기존에 있던 연관관계를 먼저 제거하고 삭제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외래 키 제약조건으로 인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오류가 발생한다. 팀1에 회원 1,2가 소속되어 있을 시, 팀1을 삭제하려면 연관관계를 먼저 끊는다.
member1.setTeam(null); // 회원1 연관관계 제거
member2.setTeam(null); // 회원2 연관관계 제거
em.remove(team); // 팀 삭제
5.3 양뱡향 연관관계
양방향 객체 연관관계
회원과 팀이 있을때, 회원과 팀은 다대일 관계라고 하자. 그럼 반대로 팀에서 회원은 일대다 관계다.
일대다 관계는 여러 건과 연관관계를 맺을 수 있으므로 컬렉션을 사용해야 한다. 팀은 Team.members
를 List 컬렉션으로 추가했다.
- 회원 -> 팀(Member.team)
- 팀 -> 회원(Team.members)
참고
JPA는 LIST를 포함해서 Collection, Set, Map 같은 다양한 컬렉션을 지원한다.
테이블 관계는 어떻게 될까?
데이터이스 테이블은 외래 키 하나로 양방향으로 조회할 수 있다. 두 테이블의 연관관계는 외래 키 하나만으로 양방향 조회가 가능하므로
처음부터 양방향 관계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할 내용이 전혀 없다.
5.3.1 양방향 연관관계 매핑
@Entity
public class Team {
...
// 필드 생략
@OneToMany(mappedBy = "team")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Member>();
//Getter, Setter ..
}
팀과 회원은 일대다 관계다. 따라서 팀 엔티티에 컬렉션인 List<Member> members
를 추가했다. 그리고 일대다 관계를 매핑하기
위해 @OneToMany 매핑 정보를 사용했다. mappedBy 속성은 양방향 매핑일 때 사용하는데 반대쪽 매핑의 필드 이름을 값으로 주면 된다.
5.4 연관관계 주인
테이블은 왜래 키 하나로 두 테이블의 연관관계를 관리한다. 엔티티를 단반향으로 매핑하면 참조를 하나만 사용하므로
이 참조로 외래 키를 관리하면 된다. 그런데 엔티티를 양방향으로 매핑하면 두 곳에서 서로를 참조한다.
따라서 객체의 연관관계를 관리하는 포인트는 2곳으로 늘어난다.
엔티티를 양방향 연관관계로 설정하면 객체의 참조는 둘인데 외래 키는 하나다. 따라서 둘 사이에 차이가 발생한다. 그럼
둘 중 어떤 관계를 사용해서 외래 키를 관리해야 할까?
이런 차이로 인해 JPA에서는 두 객체 연관관계 중 하나를 정해서 테이블의 외래키를 관리해야 하는데 이것을 연관관계의 주인이라 한다.
5.4.1 양방향 매핑 규칙 : 연관관계의 주인
- 연관관계의 주인만이 데이타베이스 연관관계와 매핑된다.
- 연관관계의 주인만이 외래키를 관리(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다.
- 주인이 아닌 쪽은 읽기만 할 수 있다.
연관관계의 주인을 정한다는 것 = 외래 키 관리자를 선택하는 것.
mappedBy 속성
- 주인이 아니면 mappedBy 속성을 사용해서 속성의 값으로 연관관계의 주인을 지정
- 주인은 mappedBy 속성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Member.team, Team.members
둘 중 어떤 것을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정해야할까?
회원 -> 팀(Member.team) 방향
Class Member {
@ManyToOne
@JoinColumn(name="TEAM_ID")
private Team team;
...
}
팀 -> 회원(Team.members) 방향
class Team{
@OneToMany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Member>();
...
연관관계의 주인을 정한다는 것은 사실 외래 키 관리자를 선택하는 것이다. 회원 테이블에 있는 TEAM_ID 외래 키를 관리할 관리자를 선택해야 한다.
만약 회원 엔티티에있는 Member.team을 주인으로 선택하면 자기 테이블에 있는 외래 키를 관리하면 된다. 하지만 팀 엔티티에 있는
Team.members를 주인으로 선택하면 물리적으로 전혀 다른 테이블의 외래 키를 관리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 경우 Team.members가 있는
Team 엔티티는 TEAM 테이블에 매핑되어 있는데 관리해야할 외래 키는 MEMBER 테이블에 있기 때문이다.
5.4.2 연관관계의 주인은 외래 키가 있는 곳
- 연관관계의 주인은 테이블에 외래 키가 있는 곳으로 정해야 한다.
- Team 엔티티는 mappedBy를 통해 주인이 아님을 설정.
class Team {
@OneToMany(mappedBy = "team") // 연관관계 주인인 Member.team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Member>();
}
- 연관관계의 주인만 데이터베이스 연관관계와 매핑, 외래 키를 관리.
- 주인이 아닌 반대편은 읽기만 가능, 외래 키를 변경하지 못한다.
- 항상 '다(N)'쪽이 외래 키를 가진다.
- @ManyToOne은 항상 연관관계의 주인이 되므로 mappedBy를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ManyToOne에는 mappedBy 속성이 없다.
양방향 연관관계 저장
public void testSave() {
//팀1 저장
Team team1 = new Team("team1", "팀1");
em.persist(team1);
//회원1 저장
Member member1 = new Member("member1", "회원1");
member1.setTeam(team1); //연관관계 설정 member1 -> team1
em.persist(member1);
//회원2 저장
Member member2 = new Member("member2", "회원2");
member2.setTeam(team1); //연관관계 설정 member2 -> team1
em.persist(member2);
}
주인이 아닌 곳에 입력된 값은 외래 키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이전 코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때 무시된다.
team1.getMembers().add(member1); //무시(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님)
team1.getMembers().add(member2); //무시(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님)
member1.setTeam(team1); //연관관계 설정(연관관계의 주인)
member2.setTeam(team1); //연관관계 설정(연관관계의 주인)
Member.team은 연관관계의 주인, 엔티티 매니저는 이곳에 입력된 값으로 외래 키 관리
5.6 양방향 연관관계 주의점
양방향 연관관계를 설정하고 가장 흔히 하는 실수는 연관관계의 주인에는 값을 입력하지 않고, 주인이 아닌 곳에만 값을 입력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 외래 키 값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지 않으면 이것부터 의심해보자.
public void testSaveNonOwner() {
//회원1 저장
Member member1 = new Member("member1", "회원1");
em.persist(member1);
//회원2 저장
Member member2 = new Member("member2", "회원2");
em.persist(member2);
Team team1 = new Team("team1", "팀1");
//주인이 아닌 곳에 연관관계 설정
team1.getMembers().add(member1);
team2.getMembers().add(member2);
em.persist(team1);
}
조회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MEMBER_ID | USERNAME | TEAM_ID |
---|---|---|
member1 | 회원1 | null |
member2 | 회원2 | null |
TEAM_ID 외래 키에 팀의 기본 값이 저장되어 있다.
양방향 연관관계는 연관관계의 주인이 외래 키를 관리한다. 따라서 주인이 아닌 방향은 값을 설정하지 않아도 데이터베이스에 외래 키
값이 정상 입력된다.
5.6.1 순수한 객체가지 고려한 양방향 연관관계
그렇다면 정말 연관관계의 주인에만 값을 저장하고 주인이 아닌 곳에는 값을 저장하지 않아도 될까?
사실은 객체 관점에서 양쪽 방향에 모두 값을 입력해주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양쪽 방향 모두 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JPA를 사용하지 않는 순수한 객체 상태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member1.setTime(team1); 회원 -> 팀
Member.team에만 연관관게를 설정하고 반대 방향은 연관관계를 설정하지 않는다면 기대했던 결과 값이 나오지 않는다.
양방향은 양쪽다 관계를 설정해야 한다. 회원 -> 팀
을 설정하면 다음 `팀 -> 회원'도 설정해야 한다.
member1.setTeam(team1); // 회원 -> 팀
team1.getMembers().add(member1); // 팀 -> 회원
객체까지 고려하면 이렇게 양쪽 다 관계를 맺어야 한다. 이렇게 양쪽에 연관관계를 설정하면 순수한 객체 상태에서도
동작하며, 테이블의 외래 키도 정상 입력된다. 물론 외래 키의 값은 연관관계의 주인인 Member.team 값을 사용한다.
정리하자면,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객체까지 고려해서 주인이 아닌 곳에도 값을 입력하자.
즉, 객체의 양방향 연관관계는 양쪽 모두 관계를 맺어주자.
5.6.2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member1.setTeam(team1); // 회원 -> 팀
team1.getMembers().add(member1); // 팀 -> 회원
양방향 관계에서 두 코드는 하나인 것처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Member 클래스의 setTeam() 매소드를 수정해서 코드를 리팩토링해보자.
public class Member {
private Team team;
public void setTeam(Team team) {
this.team = team;
team.getMembers().add(this);
}
}
setTeam() 메소드 하나로 양방향 관계를 모두 설정하도록 변경했다.
5.6.3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작성 시 주의사항
member1.setTeam(teamA); // 1
member1.setTeam(teamB); // 2
Member findMember = teamA.getMember(); // member1이 여전히 조회된다.
teamB로 변경할 때 tamA -> member1 관계를 제거하지 않는다. 그래서 연관관계를 변경할 때는 기존 팀이 있으면 기존 팀과 회원의 연관관계를
삭제하는 코드를 추가해야 한다. 따라서 기존 관계를 제거하도록 코드를 수정해야 한다.
public void setTeam(Team team) {
// 기존 팀과 관계를 제거
if (this.team != null) {
this.team.getMembers().remove(this);
}
this.team = team;
team.getMembers().add(this);
}
삭제되지 않은 관계2에서 teamA -> member1 관계가 제거되지 않아도 데이터베이스 외래 키를 변경하는 데는문제가 없다. 왜냐하면 teamA -> member1 관계를 설정한 Team.members는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니기 떄문이다. 연관관계의 주인인 Member.team의 참조를 member1 -> teamB로 변경했으므로 데이터베이스에 외래 키는 teamB를 참조하도록 정상 반영 된다.
그리고 이후에 새로운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teamA를 조회해서 teamA.getMembers()를 호출하면 데이터베이스 외래 키에는 관계가 끊어져 있으므로 아무것도 조회되지 않는다. 여기까지만 보면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것 같다.
문제는 관계를 변경하고 영속성 컨텍스트가 아직 살아있는 상태에서 teamA의 getMembers()를 호출하면 member1이 반환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변경된 연관관계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관계를 제거하는 것이 안전하다.
양방향 매핑은 복잡하다. 비즈니스 로직의 필여에 따라 다르곘지만 우선 단방향 매핑을 사용하고 반대 방향으로 객체 그래프 탐색 기능(JPQL 쿼리탐색 포함)이 필요할 때 양방향을 사용하도록 코드를 추가해도 된다.
주의
양뱡행 매핑 시에는 무한 루프에 빠지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Member.toString()에서 getTeam()을 호출하고 Team.toString()에서 getMember()를 호출하면 무한 루프에 빠질 수 있다. 이런 문제는 엔티티를 JSON으로 변환할 때 자주 발생하는데 JSON 라이브러리들은 보통 무한루프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어노테이션이나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Lombok을 사용할 때도 자주 발생한다.
참고 문헌 :
'JP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정리] , 7장 고급 매핑 (0) | 2021.04.25 |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정리], 6장 다양한 연관관계 매핑 (0) | 2021.04.25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정리], 4장 엔티티 매핑 (0) | 2021.04.25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정리], 3장 영속성 관리 (2) | 2021.04.25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정리], 2장 JPA 시작 (0) | 2021.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