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토비의 스프링 정리
- K8s
- 스트림
- mysql
- thread
- jvm
- OS
- 스프링
- Stream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spring
- SpringBoot
- Real MySQL
- 쿠버네티스
- MSA
- 이스티오
- 자바
- 백준
- redis
- Java
- GC
- IntellJ
- gradle
- Collection
- list
- JPA
- Kotlin
- 토비의 스프링
- 보조스트림
- Stack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SERVLET (1)
인생을 코딩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0ypTr/btqXD28tBwF/eQVidwmJfwDKqLnbFHuyK1/img.png)
Servlet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필요한 인터페이스 Spring web MVC spring : Spring Framework에 있는 모듈 web : Web Service를 만들때 필요 MVC : MVC 패턴을 사용해서 (Model View Controller) 그리고 이 Spring web MVC가 Servlet를 사용하게 된다. Servlet은 왜 생겼을까? 정적 데이터만 전달하는 Web Server 처음에 웹 프로그래밍인 정적 데이터만 전달할 수 있었다. 어떤 사용자가 들어와도 Hello.html만 줄 수 있었다. 그래서 사용자(요청)에 따라 다른 처리를 해줄 수 없었다. 동적인 처리를 해주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없었다. 그래서 나온게 CGI다. 동적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CGI, Web Serv..
Spring
2021. 2. 17. 19:54